하마치로 스팀 스트리밍 플레이를 다른 네트워크에서 즐기는 방법
오늘은 스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인 스트리밍 기능을 통해서 집 내부의 같은 네트워크가 아닌, 외부와의 하마치를 통한 연결로 원격 게임을 즐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개인적으로 집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게임이 가능하다면 이 부분을 로컬로 연결해주는 하마치를 사용한다면 로컬 바깥에 있는 친구와 컨텐츠를 함께 즐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해봤는데 되더군요. 스팀 라이브러리 자체에 구입하지 않은 게임도 추가가 가능하므로 이 부분부터 하마치를 세팅하는 것, 스트림 실행하는 부분까지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글에 모든 설명을 넣기에는 글이 너무 길어지므로, 이전에 작성했던 하마치의 사용법 글과 연관지어서 설명을 진행합니다. 두 프로그램을 별개로 설명을 따라 진행해도 무리없이 가능합니다.
스팀 스트리밍 플레이, 하마치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진행해보자
이 글에서 언급하는 부분을 위해선 꼭 '이곳'을 참고하여 hamachi를 셋팅해줘야 합니다.
위 글을 참고하여 하마치2를 셋팅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스팀 내에 라이브러리에 없는 게임이라면 기본 스킨을 기준으로 '게임 - Steam에 없는 게임을 내 라이브러리에 추가...' 순으로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실행 파일을 따로 눌러서 선택해주면,
라이브러리에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양이 좀 더 좋거나 인터넷 상태가 좋은 PC에서 게임을 실행해준 뒤에 다른 컴퓨터를 통해서 '스팀에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한 뒤에 같은 라이브러리 내의 게임을 보면 '스트림 실행'으로 바뀌어져 있을 것입니다. 이제 이걸 눌러서 실행해주면 스트림 플레이가 가능해집니다.(꼭, 글 상단부에 있는 hamachi2 기본적인 셋팅 링크를 통해서 사전 작업을 마쳐줘야 위처럼 다른 PC에서 실행을 해도 연결이 가능해집니다.)
위는 게임이 구동되고 있는 PC에 스트림 기능으로 연결한 후의 화면입니다.
이것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