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노버 노트북 드라이버 설치 2가지 방법에 대해
오늘은 레노버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버 설치의 2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레노버 공홈에서 받는게 가장 세부적이면서 전용 툴까지 함께 받을 수 있어서 좋은데, 단점이라 하면 그걸 설치해도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게 대부분이라는 점입니다. 즉, 하드웨어에 딱 필요한 툴만을 받아서 적용하는 것이 최선이므로 이 글에서는 공홈과 아주 필수적인 것만 받는 2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므로 사용자가 맘에 드는 방법을 따라가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공홈 내용부터 설명을 진행합니다.
레노버 노트북 드라이버 받기, 크게 2가지 루트
추가 : Lenovo notebook의 터치패드를 끄는 방법은 '이곳'을 참고하세요.
일반적으로는 서론에 언급한 것과 같이 위 레노버 서비스센터 페이지로 이동한 뒤, '지원 - 제품지원 - 드라이버 및 소프트웨어'로 이동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종류를 세부적으로 선택한 뒤에 진행해주면,
위처럼 권장하는 리스트가 있습니다. 물론, 이것들은 전부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것들은 아니므로 죄다 받아서 설치하게 되면 괜히 PC 구동 속도에만 문제가 생깁니다.
때문에, 국내에서 알려진 3DP Chip 또는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Driver Booster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부스터쪽이 3DP보다는 넓은 면에서의 드라이버 설치를 도와주므로 위 페이지의 'Performance - Driver Booster Free' 순으로 이동합니다. PRO 버전까지는 필요없습니다.
위 스크린 샷과 같은 위치의 버튼을 눌러서 다운로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설치 과정은 간단하므로 생략합니다.(도중에 어드밴스드 시스템 케어와 같은 툴의 설치 권유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면 체크를 해제하고 지나갑니다.)
처음 실행해보면 PC 하드웨어의 드라이버 버전 상태를 스캔하고 결과를 알려주는데, 우측 상단부의 '지금 업데이트'를 눌러주면 실행됩니다.
이것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