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9.3 나이트시프트(Night Shift) 기능 사용 방법
오늘은 수면에 영향을 주는 파란 빛을 차단시키는 기능인 나이트시프트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의 생체주기는 실질적으로 빛의 영향을 받는데, 이 빛의 영향으로 잠을 쉽게 잘 수 있는 멜라토닌의 생성량이 결정됩니다. 즉, 해가 진 이후에는 떴을 때보다 멜라토닌의 생성이 활발하므로 상대적으로 잠이 더 잘온다는 것입니다. 파란 빛이라는게 사실상 색온도를 바탕으로 특정 켈빈 이상을 가진 빛을 말하는데, 반대로 파랗지 않은 빛은 그 이하의 온도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낮은 색온도에는 빨간색 계열, 높은 색온도에는 파란색 계열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 중인 LED 전구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들의 경우에는 예전에 사용되던 주황색 계열의 빛을 내는 조명들보다 파란 빛이 더욱 강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사용률이 높아진 현재(큰 디스플레이, 강한 블루라이트)엔 이전보다 수면에 방해를 받게 되므로 어떤 병에 더 잘 걸린다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졌습니다.
애플에는 위 정보를 바탕으로 블루라이트 제거 기본 기능을 iOS 9.3 이상의 기기에 지원 가능하게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번 글에서는 그 기능의 온오프부터 예약 관련 설정까지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볼 것입니다.
iOS 9.3 나이트시프트, 사용 방법에 대해
추가 : 안드로이드의 경우에는 '이곳'을 참고하세요.
위와 같이 iOS 9.3 이상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기기 자체에서 9.3까지 버전을 올리는게 불가능한 경우에는 PC에 연결해서 아이튠즈를 사용해 업데이트를 받아야 합니다. 어찌저찌해서 위 버전까지 올려놨다면 95%는 다 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설정 - 디스플레이 및 밝기 - Night Shift' 순으로 이동합니다.
일반적으로 색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서론부의 언급과 같이 가장 따뜻한 색이 붉은색인 것에 감안하면 사용 전부터 덜 따뜻과 더 따뜻의 기준이 얼마나 더 붉음에 가깝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 화면에서 자신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색온도를 선택합니다. 사실상 붉은색에 더 가까울수록 블루 라이트는 줄어든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생각입니다.
2번째 줄의 '내일까지 수동으로 활성화' 메뉴 같은 경우에는,
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당기는 제어센터에서 나오는 해, 달 모양의 아이콘을 눌렀을 때와 같은 효과를 지닙니다. 즉, 다음 날이 되면 해제되겠죠.
더 따뜻한 색으로 맞춘 경우에는 안드로이드의 블루라이트 차단 앱을 사용함과 같이 색이 변하게 되는데, 이게 OS 자체의 지원 기능이므로 스크린 샷을 찍었을 때 누렇게 찍히지 않으므로 안드보다는 상대적으로 스크린 샷을 자주 찍는 유저는 사용함에 부담감이 적습니다.
이것으로 글을 마치도록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