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3d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 문제 해결법
오늘은 'direct3d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에러는 롤을 처음 깔때 주로 볼 수 있는 에러로써, 이 글에서 제안하는 최대 세가지 방법을 따라한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노트북에 새로 윈도우를 설치한 뒤, 필수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나서 겪은 증상입니다.
리그오브레전드가 아무리 사양이 낮은 게임이라고 해도 다양한 이유로 실행에 지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전이 다이렉트나 그래픽 드라이버와 같은것들은 설치 및 업데이트를 마무리 시켜두는 것이 좋습니다.
direct3d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 문제 해결법
direct3d 관련 문제는 '이곳'을 참고하며, 아래의 내용을 따라가세요.
보통 위와 같은 오류창이 뜹니다. 다시 실행해도 컴퓨터에는 개선된 부분이 없으므로 계속 이런 방식의 에러만 뜰 뿐입니다. 우선, 상단의 링크를 통해서 .NET Framework를 설치합니다. 이 문제 외에도 상당히 쓸만한 부분이 많습니다. 의외로 넷 프레임워크의 문제로 인해서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위 링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레임워크 4 웹 설치 관리자 페이지의 링크에서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 후, 받은 파일의 링크입니다. 설치 과정은 생략했습니다.
두번째는 DirectX 부분을 설치해주는 것입니다. 롤 관련 .dll 파일 에러도 있는데, 이 과정을 통해서 사전에 방지해두면 좋습니다. 링크는 '이곳'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센터의 파일 링크입니다.
도중에 Bing 바 설치 권유가 있으므로 설치과정을 생략하지 않았습니다.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 부분은 필수적으로 체크 해제후 진행하셔야 합니다.
다운로드 크기는 약 46.4 MB 입니다. 새로 윈도우를 설치한 컴퓨터일수록 이 과정은 필수적입니다.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부분까지 마친 뒤에 한번 리그오브레전드를 실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세번째 과정인 아래 부분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세번째는 각 그래픽카드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드라이브를 받는 것입니다. 위 스크린 샷은 AMD 그래픽카드의 경우에 해당하며, 아무 웹에서나 'AMD'를 검색 후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메뉴 중 '드라이버 + 지원 → 드라이버 + 다운로드 센터'를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항목을 선택하십시오 부분에는 노트북, 데스크탑, 맥 등을 선택하는 과정부터 해서 어떤 시리즈인지까지 정하고 진행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그래픽 드라이버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엔비디아의 경우에는 '공식 홈페이지 → 좌측 상단의 드라이버 메뉴 → Geforce 드라이버'로 이동하면 위와 같은 화면의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옵션 2'를 통해서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뿐만 아니라 마더보드 드라이버도 마찬가지로 검색이 가능하므로, Nvidia의 제품을 사용 중이라면 업데이트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것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